Sprint_DA01/위클리 페이퍼20 위클리 페이퍼 #4 - 클래스와 인스턴스, 정적 메소드 클래스와 인스턴스- 클래스와 인스턴스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기본 개념이다.클래스 : 객체를 만들기 위한 설계도 또는 템플릿으로, 객체가 가져야 할 속성과 메소드를 정의인스턴스 : 클래스에서 정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생성된 실제 객체로, 클래스의 속성와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다.정적 메소드- 정적 메소드는 클래스에 속하지만 인스턴스에 종속되지 않는 메소드이다. 정적 메소드는 클래스의 속성이나 다른 메소드에 접근할 필요가 없을 때 유용하다.- 정적 메소드는 @staticmethod 데코레이터를 사용하여 정의한다. 정적 메소드는 첫 번째 인수로 self를 받지 않으며, 클래스 이름을 통해 직접 호출이 가능하다.클래스와 관련 있지만 인스턴스와는 관련이 없다 - 정적 메소드는 클래스의 상태나 속성에 접근할 필요가.. 2024. 7. 12. 위클리 페이퍼 #3 - 데이터 전처리, t-test 데이터 전처리1. 데이터 전처리란 무엇인가? - 데이터를 분석 및 처리에 적합한 형태로 만드는 과정을 말한다. - raw 데이터를 clean 데이터로 만드는 작업으로 데이터를 가공하여 분석에 적합한 형태로 만드는 모든 과정을 의미한다. - 전처리를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서 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. 2. 데이터 전처리 방법출처 : https://bdataanalytics.biomedcentral.com/articles/10.1186/s41044-016-0014-0 Big data preprocessing: methods and prospects - Big Data AnalyticsThe massive growth in the scale of data has been observed in recent ye.. 2024. 7. 7. 위클리 페이퍼 #2 - 제 1종오류, 제 2종오류 및 p-value 통계적 가설검정을 하는 이유?모집단에 대해서 가능한 진실은 둘중 하나1) 귀무가설이 옳거나2) 대립가설이 옳거나통계적 가설 검정을 기반으로 귀무가설과 대립가설 중 확률적으로 높은 쪽을 선택할 뿐 제 1종 오류와 제 2종 오류1종 오류와 2종 오류는 통계적 가설검정 과정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오류의 두 가지 유형이다. 이들 오류는 통계적 가설검정에서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검증할 때 발생할 수 있다.- 1종 오류 : 귀무가설이 참 일때,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오류이다. 이는 실제로는 차이가 없는데, 차이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, 제 1종 오류의 확률은 알파(α)로 표현된다. - 2종 오류 : 귀무가설이 거짓일 때, 귀무가설을 채택하는 오류이다. 이는 실제로는 차이가 있는데, 차이가 없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,.. 2024. 6. 28. 위클리 페이퍼 #1 - 사분위수, 기술통계 및 추론통계 사분위수사분위수는 데이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후, 이를 4개의 동일한 빈도로 나누는 값들이다.이 값들은 데이터를 4개의 부분으로 나누며, 각 부분은 전체 데이터의 25%를 포함한다.- 제 1사분위수 : 데이터의 하위 25% 지점에 해당하는 값입니다. 전체 데이터의 25%가 이 값보다 작거나 같다.- 제 2사분위수 : 데이터의 중앙값으로, 데이터의 중앙에 위치한 값입니다. 전체 데이터의 50%가 이 값보다 작거나 같다.- 제 3사분위수 : 데이터의 하위 75%지점에 해당하는 값입니다. 전체 데이터의 75%가 이 값보다 작거나 같다.- 제 4사분위수 : 데이터의 상위 100%지점에 해당하는 값, 즉 데이터셋의 최대값이다. 기술통계- 정의 : 기술통계는 데이터를 요약하고 설명하는 방법이다. 데이터를 시각적으.. 2024. 6. 28. 이전 1 2 3 다음